‘후후’ 서비스에 ‘실시간 탐지 알림’ 기능 도입, 악성앱 탐지 기능 강화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스팸알림 서비스 ‘후후’를 제공하는 브이피는 피싱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악성 앱 실시간 탐지 알림’ 기능을 도입했다고 23일 밝혔다. 스마트폰에 신규 앱이 설치될 때 악성코드 유무를 검사하도록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 후후의 악성 앱 실시간 탐지 알림 서비스 [자료: 브이피0]
악성코드 검사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금융보안원 등의 신뢰도 높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실행되며, 악성 앱으로 확인되면 바로 삭제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해 피싱 위험으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한다.
최근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틈타 악성 URL이 포함된 문자와 SNS로 스미싱을 유도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카드사나 은행, 자치단체 등을 사칭해 악성 URL 클릭을 유도하고 악성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수법이다.
경찰청 조사에 따르면 피싱 조직들은 카드배송이나 사건조회, 대출신청 등을 사칭해 피해자의 스마트폰에 악성 앱을 설치한 뒤, 이를 통화 녹음, 원격제어 및 실시간 위치 추적까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가 직접 공공기관에 전화를 걸어도 소용없도록 발신 번호를 조작해 피싱 조직이 직접 응답하는 ‘통화 가로채기’ 수법도 동원되는 추세로, 초기 앱 설치 단계에서 이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백주연 브이피 커스터머사업본부장은 “연초부터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신고가 증가하면서 50대 이상의 피해사례가 늘고 있으며, 악성 앱 설치를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피싱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며 “후후 앱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실시간 탐지 알림 기능을 활용해 악성 앱 검사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