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여이레 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기술‧정책 방향 : 보건의료데이터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10일 서울 강남구 소재 서울무역컨벤션센터에서 ‘개인정보 기술포럼’ 공개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최근 예방 및 맞춤형 의료 패러다임 도입으로 민감 의료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정수환 기술포럼 의장(숭실대 교수)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보건의료 데이터를 활용한 산업 동향 △병원 등 의료기관의 데이터 활용 현황 △보건의료데이터 관련 개인정보 정책 개선방향 등에 대한 각계 전문가 발표가 진행됐다.
패널토론에서는 김순석 기술포럼 정책분과장(한라대 교수)을 좌장으로 ‘보건의료데이터 안전활용을 위한 법‧제도 정합성 제고 및 P.E.T.(개인정보보호 강화기술) 대응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P.E.T는 개인정보의 기밀성과 안전을 보장하면서 데이터의 수집, 처리, 분석,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 접근 방식을 뜻한다. 데이터 활용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악용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도 데이터의 효용성은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토론에서는 공공·학계·법조계·산업계 등 다양한 분야의 구체적 사례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시 애로사항 및 기술적 해결 가능성에 대한 실질적 의견이 오고 갔다.
최장혁 개인정보위 부위원장은 “건강 증진에 대한 인식 확산 및 기술 발전으로 보건의료데이터의 2차적 활용 수요가 높아졌으나, 민감정보인 보건의료데이터에 대해서는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가명처리 및 다양한 개인정보 보호 강화기술을 활용헤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활용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여이레 기자(gore@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