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은 ‘사이버보안 없이 AI시대 없다’를 주제로 정책협약을 체결하고, 정보보호 4대 정책공약이 담긴 정책제안서를 공유했다.
정책 제안은 △국민과 기업이 안전하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신뢰사회 조성 △AI 시대 미래 위협에 대응하는 국가 전략기술 확보 △AI 시대를 지키는 사이버보안 인재 생태계 구축 △사이버보안을 국가전략 수출 산업으로 육성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AI시대 사이버보안을 위한 대국민 인식 전환, 국가핵심기술·시설 보호를 위한 보안 역량 확보 등의 정책을 제안했다. AI나 양자 등 신기술 적용 및 AI 악용 대응을 위한 R&D, 혁신기술 적용 솔루션 및 실증 프로젝트 활성화, ‘AI for Security’를 위한 실전 보안인재 양성 등도 과제로 꼽았다. 정보보호인력 생애주기 관리플랫폼 구축과 1조원 규모 M&A 펀드조성, K-사이버보안 수출 활성화 등도 제안됐다.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조영철 KISIA 회장(왼쪽)과 이정현 민주당 선관위 정보통신위원장이 정책협약을 맺었다. [자료: KSIA]
국회 의원회관 제5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정책협약식엔 국내 정보보호기업 대표 10여명과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정보통신위원회 이정헌 위원장 등이 참석, 국내 보안 인프라 현황을 점검하고 민간 사이버보안 체계 강화를 위한 정보보호산업 정책을 논의했다.
조영철 KISIA 회장은 “2030년까지 글로벌 정보보호산업 3위 진입이라는 도전적 목표달성을 위해 10조원 규모의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며 “대한민국 국민과 기업이 안심하고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시대를 만들기 위해 협회 역시 책임과 역할을 다하고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정헌 선대위 정보통신위원장은 “정보보호는 산업을 보조하는 기술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디지털 주권을 지키는 핵심 자산”이라며 “민간 전문성과 현장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정보보호 산업이 국가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제도적·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세희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