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한세희 기자] SK텔레콤 신규 고객 영업이 5일부터 중지된다.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는 2000만명을 넘었다.
김희섭 SKT PR센터장은 5일 서울 SKT 기자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자동가입 적용 후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가 오늘 오전 9시 기준 2218만명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유심 교체는 100만건에 달했고, 교체 예약 신청자는 770만명이다.

▲김희섭 SKT PR센터장이 5일 SKT 기자실에서 브리핑 하고 있다. [자료: 보안뉴스]
임봉호 MNO사업부장은 “전국 2600개 티월드 매장과 대리점, 온라인 채널 다이렉트샵은 오늘부터 신규 고객 유치 영업을 중지하고 기존 고객 유심 교체 등 업무에 집중한다”고 말했다.
또 “일부 현장에서 전산 지연으로 번호 이동 등에 일부 지연이 있었던 점 사과드린다”며 “다만 이는 신청이 몰리면서 업무 처리에 부하 걸려 나타난 일시적 현상이었다”고 말했다.
최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공지한 추가 악성코드 발견 관련해선 말을 아꼈다. 류정환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은 “추가 악성코드가 당초 공격 당한 홈가입자서버(HSS)에서 발견됐는지, 다른 서버에서 발견된 것인지 등은 민관 합동 조사단이 조사 중인 사항”이라며 “유의미한 결과가 있으면 조사단에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휴대폰이 재부팅 되는 동안 또는 배터리가 방전된 상황에서 유심 복제 위협성이 있다는 우려에 대한 설명도 있었다. 류 센터장은 “유심보호서비스는 특정 단말과 유심 정보를 마치 본드로 붙여놓은 것처럼 묶어 놓는 것이기 때문에 복제 유심을 다른 단말기에 꽂아도 작동 안 한다”며 “FDS에도 휴대폰 꺼져 있을 때 방어하는 로직이 들어가 있다”고 말했다.
[한세희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