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위한 사기탐지와 이동통신 이용자 위한 스팸필터링 제공
[보안뉴스 김경애 기자]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FAME’ 등 빅데이터 기반 AI보안 솔루션을 이번 MWC에서 첫 선 뵌다고 25일 밝혔다.

▲SKT가 MWC25에서 선보인 사이버 범죄 대응 기술 ‘FAME’ [자료: SK텔레콤]
‘FAME’(Fraud detectio0n AI for MNO & Enterprise)은 통신 빅데이터 기반 AI 보안 솔루션이다. 기업을 위한 사기탐지 모델과 이동통신 이용자를 위한 스팸필터링 모델을 제공한다.
FAME 사기탐지는 SKT 위치 데이터와 전화, 문자 정보 등의 통신 데이터를 AI로 실시간 분석해 금융·보험 사기 예방에 도움을 준다.
예컨데, 사용자가 은행 앱에 로그인 시 보이스피싱 번호와 통화 이력이 발견되면 계좌 이체 중단 경고를 고객에게 발송할 수 있다. 이런 선제 대응 능력을 인정받아 신한카드를 시작으로 금융권과의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다.
FAME은 LLM 기술을 활용해 스팸·스미싱·악성 앱·악성 URL 등을 실시간으로 탐지·차단하는 개인 고객 대상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이밖에, 건설 현장에서 정밀 이동이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 ‘VLAM(Visual Localization And Mapping)’과 ‘AI 미디어 스튜디오’도 MWC 현장에서 공개된다.
SKT는 이날 “AI기술을 활용해 스미싱과 같은 사이버 금융범죄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애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