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입체통신 네티워크 기반기술 평가, 재난 시 유효 통신망
[보안뉴스 박은주 기자] ETRI가 통신이 불가한 재난 시에도 공중에서 임시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술 개념도[이미지=ETRI]
6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작년 말 공중이동체와 지상 시스템 간 2.5km 거리에서 1.3Gbps(초당 기가바이트) 통신 서비스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10km 거리에서는 300Mbps(초당 메가바이트) 속도가 나왔다.
현재 공중이동체와 지상 간 무선통신 기술은 5km 이내 전송 속도가 40Mbps급이다. 속도가 느려 장거리에서 대용량 통신을 지원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공중 지상 간 통신 시스템은 10km 거리에서도 다채널 4K 고화질(UHD) 영상을 원활히 전송할 수 있다.
드론과 도심공항상공(UAM) 등 공중이동체에 5G 소형 이동통신 기지국과 이동 백홀 터미널 등을 탑재해 통신 재난 환경에서 신속히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
드론 전력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선 형태로 제작했다. 유선 운용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공중시스템 스위칭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이어간다.
밀리미터 대역(주파수 대역이 30∼300기가헤르츠인 전자기파)의 짧은 전송 거리 한계를 극복하고 광대역 고속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실제 지난달 대전 대덕구 문평동 소재 드론공원에서 이번 기술을 활용해 재난 대응 서비스 시연도 진행했다.
연구팀은 UAM 기체 개발 기업과 무인기 통신 전문 기업에 이번 기술에 대한 3건의 기술이전을 완료했다.
배정숙 ETRI 지능무선액세스연구실장은 “재난과 재해뿐만 아니라 해상 산간 등 통신 기반이 부족한 지역에서 조난, 실종자 수색, 응급환자의 원격진료, 긴급치안, 경호, 정찰 등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