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가 핵심기술, 해외 유출 증가...기업 피해·국가 경쟁력도 타격
2. 정부, 해외 기술유출 방지 강화...통합보안 관심·수요 증가
3. 통합보안, 보안 강화와 비용절감 일석이조 효과...운용 효율성 강점
[보안뉴스 김경애 기자]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등은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다. 정부는 국가 경쟁력을 위해 육성 정책을 펴고 있다. 하지만 국가 핵심기술 유출은 끊이지 않고 있다. 다양한 수법으로 유출, 기업의 피해를 키우고 있다. 핵심기술 유출은 기업 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에도 큰 타격이 될 수 있다. 보안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
▲임천수 투씨에스지 대표[사진=투씨에스지]
경찰청이 집계(지난해 1월~10월까지)한 해외 기술유출 사건은 총 25건이다. 이중 18건은 중국 유출이다.
기술유출 수법은 다양하다. 연구자료, 설계도면 등을 USB 저장매체로 복사·출력한다. 텔레그렘 등 메신저로 전송, 화면에 기술정보 띄워 캡처·스마트폰 촬영으로 유출한다.
정부도 핵심기술 유출 방지에 나서고 있다. 지난 8일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 법안은 국가전략기술 관련 정보를 외국 정부 등에 제공할 때, 중앙행정기관장과 제공 여부를 사전협의하는 규정이다.
정부 강화 정책에 최근 기업도 보안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통합보안이 그렇다. 지난해 8월 보안뉴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64.3%가 통합보안 솔루션을 도입·운영 중이며, 11.6%는 도입 예정이다.
통합보안은 여러 보안 솔루션의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 기능 간 연계로 보안 강화와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다.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강점이다.
임천수 투씨에스지(TOCSG) 대표는 “최근 통합보안 관심과 수요 증가를 체감하고 있다”며 “대부분 기업·기관은 보안 솔루션 통합으로 보안 강화는 물론, 비용절감을 원한다”고 밝혔다.
임 대표는 “사용자 행위 기반의 보안 이벤트를 연계한 보안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며 “통합구성 보안 기술을 연계한다면, 기존 ‘사일로화’(Silo, 정보 고립)된 보안 솔루션별 정책 구성을 벗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보안 위반 행위 대응에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는 뜻이다.
특히 화상회의나 VDI구동, 원격접속 등 업무 볼 때, 그에 적합한 보안정책 적용이 돼야 한다는 것.
이 회사 윤주영 사업전략팀 이사는 “줌·팀즈 등 협업 프로그램이나, VDI·VPN 원격제어 등 인프라 솔루션 활용 시에는 일반 사내 업무 환경과는 다른 특화된 보안 대응이 필요하다”며 “화면 워터마크나 캡쳐 통제 등 기능은 화면 정보유출 방지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런 기능이 항상 동작하면 업무 생산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 이사는 또 “업무환경 변화 감지로, 상황에 맞게 적합한 보안 기능을 적용한다면, 업무 생산성 저하없이 보안의 실질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덧붙혔다.
[김경애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