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hington Post-

[이미지 = gettyimagesbank]
- bring은 ‘가지고 오다’의 뜻이고, halt는 ‘중단’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bring to a halt라고 하면 뭔가를 ‘중단으로 가지고 오다’라는 뜻이 되는데, 알듯 말듯 하죠. ‘중단 상태로 (뭔가를) 가져오다’라고 하면 어떨까요? 뜻 유추가 좀 더 쉬워질까요?
- bring to a halt는 뭔가를 중단 상태에 이르게 하다는 뜻입니다. 간단히 말해 멈춘다, 마비시킨다는 의미죠.
- 그러므로 위의 발췌문의 빨간 글씨는 국가의 대부분을 마비시켰다는 의미가 됩니다. 이스라엘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에 관한 내용인데, 워낙 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몰려나와 교통과 행정 등이 멈췄다는 의미에서 저 표현이 사용됐습니다.
- 뭔가를 중단시키거나 마비시킨다고 했을 때 뭔가 점진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예고 없이 급작스럽게 이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bring to a halt의 경우 후자에 속합니다. 위 시위 역시 갑자기 발생해 예고 없이 국가 기능을 마비시켰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추가로 예문을 보겠습니다.
* Her political career came to a halt in December 1988.
(그녀의 정치 인생은 1988년 12월에 갑작스럽게 중단됐다.)
* Air traffic has been brought to a halt by an air traffic controllers┖ strike.
(항공 교통 통제 인원들이 파업을 벌이는 바람에 항공 교통이 갑자기 마비됐다.)
* The speeding police car, with its flashing lights and siren, brought all the other drivers to a halt.
(경찰차가 사이렌을 요란하게 켜고 불까지 번쩍번쩍 거리며 달리자, 주변에 있던 다른 운전자들이 모두 차를 세웠다.)
* A sudden reduction in funding brought our research to a halt.
(지원금이 갑자기 축소되면서 우리의 연구는 갑작스레 중단됐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