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서울소방재난본부]
그동안 아파트 ‘안전점검의 날’은 소방서에서 아파트 관리사무소를 통해 세대별 소방시설과 피난기구의 사용 방법 등을 안내하는 방법으로 시행했다.
그러나 이번 10일에 실시하는 ‘안전점검의 날’에는 관리사무소가 중심이 돼 화재 시를 가정해 상황에 맞는 대피 안내방송에 중점을 두고 훈련을 진행한다.
훈련에 앞서 입주민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관리사무소에서 사전에 안내문과 안내방송을 통해 충분히 사전 안내를 한 후, 10일 저녁 7시부터 10분간 서울지역에 있는 아파트에서 동시에 실시한다.
훈련은 관리사무소에서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고 상황에 맞는 대피 방송을 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입주민은 안내에 따라 대피 방법을 숙지하고, 자율적으로 대피훈련에 참여할 수 있다.
대피훈련은 관리사무소 안내에 따라 화재가 발생했다고 가정되는 세대에서는 현관문을 닫고 외부로 신속히 대피하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세대에서는 집 안에 대기하며 화재 상황을 주시하고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아 놓는 훈련이다.
대피방송 훈련 후에는 각 세대별로 자율 안전점검을 실시하도록 방송한다. 입주민들은 방송안내에 따라 세대 내에 설치된 소화기·완강기 등을 점검하고, 화재위험 요인은 없는지 살펴보면 된다.
아울러 소방서와 의용소방대에서는 스프링클러 설비가 없는 노후 아파트에 대해 평상시 방화문 닫아두기와 대피 방법을 안내하는 ‘찾아가는 화재안전 컨설팅’도 진행한다.
황기석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이번 훈련은 서울지역 아파트를 대상으로 처음 실시하는 만큼, 관리사무소와 입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드린다”며, “훈련 결과에 따라 미흡한 점은 보완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