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W-

[이미지 = gettyimagesbank]
- loom은 뭔가가 흐릿하게 보이는 걸 말합니다. 그런데 그 흐릿하게 보이는 게 대부분 좋지 않은 것, 무섭고 떨리는 것, 불길한 것일 때가 많습니다.
- 그래서 ‘위험이 닥칠 것처럼 보인다’라는 말을 할 때 loom이 사용됩니다.
- large는 ‘크다’는 뜻이죠. loom을 어느 정도 강조하는 기능을 합니다. loom이 ‘뭔가 불길한 것이 다가오고 있다’는 뜻이라면 loom large는 ‘뭔가 불길한 것이 다가오는 것을 막을 수 없다’거나 ‘그 불길한 것이 너무나 중요해 걱정되지만 피할 수 없다’는 뉘앙스를 갖게 됩니다.
- 위의 예문을 통해 보자면 loom large는 divisions over the Ukraine War에 딸려 있는 표현인데요,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하여 G20의 의견들이 갈릴 것이 거의 분명해 보인다는 의미로 사용됐습니다. 예견이지만 희망적이지 않고 오히려 절망을 담아내고 있지요. 이 말을 한참 보다보면 loom이라는 글자 자체가 암울해 보이기도 합니다.
- 그 외의 예문을 보겠습니다.
* The possibility of war loomed large.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이 불길하게 커 보인다.)
* I wanted to go out and play but the exam loomed large.
(나가서 놀고 싶었지만 다가오는 시험 때문에 그럴 수 없었다.)
- 보안은 늘 불길함을 안고 있을 수밖에 없는 분야입니다. 언젠가 뭐가 터져도 터질 거야, 라는 마음이 보안 담당자들 마음 한 구석에 늘 있지요.
* Cyber incidents loom large all the time in my mind.
- 그래서 요즘에는 그냥 불길해 하지만 말고, 나가서 그 불길함의 정체를 적극 파악하라는 조언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크웹을 들여다보고, 각종 첩보를 접수해 공격자들의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면 막연한 불길함도 해소되고 어느 정도 방어의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 Make a clear picture of what seems to loom large.
- 불길함이나 두려움의 상당 부분은 ‘막연함’ 혹은 ‘잘 모름’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생각했을 때 요즘 돌고 있는 ‘큰 그림을 그려라’라는 조언은 타당해 보입니다.
※ 이 코너는 보안뉴스에서 발간하는 프리미엄 리포트의 [데일리 보안뉴스+] 콘텐츠를 통해 2주 빨리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