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행정·공공기관의 특성 및 환경을 고려한 민간 클라우드 도입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향상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 지자체 시범 사업을 통해 경남도, 광주시, 세종시, 전남도, 전북도, 제주도 등 6개 광역자치단체 864개 정보시스템을 민간 클라우드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주로 자체 전산실에서 정보시스템을 운영해 왔으나, 시설이 노후돼 화재·지진·수해 등 재난 대응이 어려워 운영 안정성과 효율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 제기돼 왔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 사업을 통해 행정기관에서 민간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행정·공공 서비스를 빠르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번 시범 사업은 행정·공공기관에서 민간 클라우드를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기관별 특성에 맞는 모델을 마련하기 위해 시행됐으며, △민간 이용형 △민간 위탁형 △민간 이용·위탁 혼합형으로 나눠 진행됐다. 비용 부담이 적은 민간 이용형은 민간 클라우드센터에 행정·공공기관 전용 영역을 만들어 이용하는 모델로, 경남·광주·전남·제주가 민간 이용형을 활용했다. 특히 광주, 전남은 보안성이 높은 행정 내부 업무(온나라 2.0)도 민간 클라우드센터로 이관했다.
민간 위탁형은 행정기관이 소유한 건물에 민간 클라우드 기반시설(인프라)를 도입하고, 운영을 민간 사업자에게 위탁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델로 관리 효율성이 장점으로 꼽힌다. 전북은 현재 대부분의 서비스를 민간 이용형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전산실 노후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전산실을 민간 위탁형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세종은 민간 이용·위탁 혼합형을 활용해 대민 업무는 민간 클라우드센터의 행정·공공기관 전용 영역을 이용하고, 행정 내부 업무는 행정기관이 소유한 건물에 민간 클라우드 기반시설(인프라)을 도입했다.
시범 사업 추진 결과, 기존 시스템에 비해 평균 응답시간이 48%(3→1.56초) 단축되고 시간당 처리량이 57%(136.8→214.2건/초) 증가하는 등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연간 300만㎾h의 소요 전력 절감으로 탄소배출량이 1,200톤 줄어들어 30만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가 발생했다.
이와 관련해 행정안전부는 지난 29일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 사례와 성과 공유 행사를 개최했다. 향후 행안부는 시범 사업 결과 등을 반영하고 민관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신기술을 공공 부문에 적극 적용해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활용모델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서보람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국장은 “이번 시범 사업 추진을 통해 행정 업무의 효율성 향상과 정보시스템의 운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돼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활용모델 사업이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핵심인 민·관이 협업하는 대표적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