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핵심 인프라 ‘인터넷 서비스’ 사이버 보안체계 고도화 방안 논의
[보안뉴스 원병철 기자] 초연결 시대 새로운 유형의 재난으로 등장한 디지털 블랙아웃(통신장애)의 해결을 위해 정부과 기업, 유관기관이 힘을 모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박윤규 제2차관은 5월 9일(화) KT 과천타워에서 주요 정보통신사업자 기업(ISP),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 전문가, 유관기관 등 10여명과 함께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연속 현장 간담회(제1차)를 개최했다.

[사진=과기정통부]
이번 간담회는 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디지털화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핵심 인프라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주요 정보통신사업자(KT, SK텔레콤, LGU+, SK브로드밴드, 세종텔레콤, 드림라인)의 사이버 보안체계 현황을 점검하고 보안체계 고도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최광희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침해대응본부장이 △디도스 공격기법의 진화와 SW 취약점 악용 해킹 공격 사례 △공급망 보안·제로트러스트 체계 도입 필요성 등 주요 사이버공격의 분석과 대응사례를 발표했으며, 연이어 정보보호 전문가인 상명대학교 유지연 교수가 △기업 집단 대응체계 구축의 필요성 △사이버 위협정보 공유의 중요성 등 사이버보안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대응방향을 발표했다.
다음으로 주요 정보통신사업자별 보안체계 현황과 과기정통부 및 KISA의 권고로 실시한 네트워크 장비 보안점검 결과를 공유했다. 보안점검은 각 기업이 최근 침해사고 사례 등을 참고해 시스템 및 네트워크 장비 설정 상태, 보안장비 현황 및 관리 체계 등을 확인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지난달부터 사전에 진행된 바 있다.
마지막으로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 전문가들과 함께 정보통신 서비스의 안전한 제공을 위한 사이버 보안체계의 구체적인 고도화 방안과 정부의 정보통신사업자에 대한 실효적 정보보호 체계 점검 및 지원 방안 등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특히, 정보통신사업자의 실질적인 사이버 보안체계 강화를 위해 정보통신망법과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등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한 제도 개선 및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고 심도 있는 토론이 이루어졌다.
과기정통부 박윤규 제2차관은 “민생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주요 정보통신사업자의 견고한 사이버보안 예방·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정부는 정보통신사업자 대상 모의침투 훈련을 강화하고 제로트러스트 모델 등 新보안체계 도입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하면서, 주요 정보통신사업자에게 “오늘 간담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을 엄중히 인식하고 국민 생활과 국가의 안정을 위해 높은 수준의 보안체계를 구축·유지해주시기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원병철 기자(boanone@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