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시장 주도, 안전 관련 솔루션 각광, 언택트 솔루션 인기 지속 등 꼽아
[보안뉴스 엄호식 기자] 종합 안심솔루션 기업 에스원은 85만 고객을 대상으로 ‘보안 인식’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보안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트렌드를 전망하기 위해 진행됐다.

[이미지=utoimage]
에스원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23년 주요 보안 트렌드를 △AI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시장 주도 △안전 관련 솔루션 각광 △언택트 솔루션 인기 지속 △물리보안, 보안 시장 성장 견인으로 전망했다.
AI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보안 시장 주도 기대
4차산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기술인 ICBAM(IoT, Cloud, Big Data, AI, Mobile) 중 올해 보안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은 AI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보완하고 싶은 서비스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에스원 보안서비스 이용 고객들은 ‘얼굴인식 출입 관리(29.2%)’와 ‘지능형 CCTV(7.3%)’ 등을 꼽았다. 이 솔루션들의 공통점은 AI 기술이 탑재돼 있다는 점이다.

▲2023년 보완하고 싶은 서비스[자료=에스원]
에스원은 “AI 기술은 도난, 침입, 쓰러짐 등 이상 상황을 자동으로 인식해 안전은 물론 사용자나 관리자의 편의까지 높일 수 있는 점이 특징”이라며 “올해, 안전과 편의를 모두 충족시키는 AI 기반 솔루션들이 인기를 얻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전 솔루션과 언택트 솔루션 인기 지속
지난해 대형 빌딩 침수, 터널 화재 등 각종 재난·재해 사고가 잇따르면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관련 솔루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일어난 재난, 재해사고로 인해 불안감을 느낀 경험이 있나?[자료=에스원]

▲2023년 보완하고 싶은 안전 관련 솔루션은[자료=에스원]
설문 결과에 따르면 ‘최근 일어난 재난, 재해사고로 인해 불안감을 느낀 경험이 있나’라는 질문에 59.1%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또, ‘올해 보완하고 싶은 안전 관련 솔루션’을 묻는 질문에는 ‘재해 예방 모니터링 솔루션(65.9%)’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지능형 CCTV(18.9%)’와 ‘차량운행관리 솔루션(5.9%)’, ‘AED(3.4%)’가 뒤를 이었다.

▲팬데믹 이후, 일상 생활에서 대면·비대면 중 선호하는 생활패턴[자료=에스원]
이어 ‘팬데믹 이후, 일상 생활에 있어 대면·비대면 중 선호하는 생활 패턴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67.2%가 비대면을 선호한다라고 답했으며, ‘올해 보완하고 싶은 언택트 솔루션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73.2%가 얼굴인식 출입관리 솔루션을 꼽았으며 모바일 카드(12.1%)와 화상회의 솔루션(6.3%), 재택근무 관리 솔루션(6.0%) 순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장기화와 안전 관련법 시행 등으로 물리보안 시장 성장 예상
최근 월패드 해킹, 랜섬웨어 사고 등 사이버 범죄가 증가하며 정보보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안전 관련법 시행, 팬데믹 장기화 등으로 오히려 물리보안 시장 성장세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물리, 정보보안 중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81.7%가 물리보안을 이용한다고 응답했으며, 3.4%가 정보보안을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또, 두 가지 서비스를 모두 이용한다는 응답은 14.9%로 나타났다.

▲2023년 보완하고 싶은 언택트 솔루션[자료=에스원]

▲물리보안과 정보보안 중 이용하고 있는 보안 서비스[자료=에스원]
이어 ‘올해 보완하고 싶은 보안 서비스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네트워크 보안(5.8%)과 PC보안(3.6%) 등 정보보안을 선택한 응답자는 9.4%였으나 CCTV(39.7%)와 출입관리 솔루션(28.5%) 등 물리보안을 선택한 응답자가 전체의 79.4%에 달했다.

▲올해 보완하고 싶은 보안 서비스[자료=에스원]
에스원 측은 “국내 대표 보안 기업으로서 최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에 편의까지 더한 트렌드형 솔루션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안전과 관련된 사회적 인프라가 확충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해 나가며 안전한 사회 구현에 앞장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엄호식 기자(eomhs@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