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기간통신사업자 임대 번호에서 집중 발생
휴대전화 스팸의 대표적인 유형은 060번호로 발생하는 것이며, 특정 기간통신사업자가 임대하는 번호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부는 9일 휴대전화스팸의 증가원인과 대책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히고 “일부 기간통신사업자들의 해당 음성정보사업자에 대한 관리·감독이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통신위원회에 약관위반사항 조사를 요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자료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의 부정기 조사결과에 의한 것으로, 060번호로 발생한 스팸의 신고건수를 분석한 결과 특정 업체가 전체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보통신부는 이날 날이 갈수록 교묘하고 지능화되고 있는 휴대전화 스팸을 차단하기 위해 이동통신업체 간 블랙리스트를 작성하는 등 새로운 대책을 마련했다.
휴대전화 스팸은 전화가 한 번 울렸다가 끊어져 부재중 전화로 남게 한 후 이용자가 전화를 하면 음란사이트나 대출사이트 등으로 연결되는 ‘원 링’ 방법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발송자 입장에서 발송비용이 거의 없고 불특정 다수에게 손쉽게 전송되기 때문이다. SMS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스팸도 여전히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정통부는 이러한 스팸을 방지하기 위해 전화스팸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트랩 4000대 중 스팸탐지가 미미한 2500대를 단계적으로 6월까지 대처할 예정이다.
스패머로 판정돼 서비스 해지된 사업자가 명의도용으로 전화서비스를 재개설하는 것을 막기 위해 통신사의 본인확인 절차를 강화하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사업자간 스패머 블랙리스트 정보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예정이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서혜석 열린우리당 의원이 발의했으며, 불법 스팸사업자로 밝혀질 경우 서비스 사업을 중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음란성 URL-SMS스팸은 지난해 말 이동통신 3사가 내부 콘텐츠사업자(CP)의 성인물(야설, 음란물) 서비스를 중단함에 따라 외부 무선인터넷사업자에 의한 스팸 발송도 최근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음란성 URL-SMS스팸을 막기 위해 정통부는 스팸발송 CP의 URL이 스팸트랩에 감지되면 즉시 삭제하도록 도메인 등록업체에 통보해 일반인의 접근을 차단할 계획이다.
휴대전화 스팸, 060 성인스팸·음란성 URL-SMS 늘어
한편 KISA가 지난 3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조사한 스팸 수신량 조사에 의하면 휴대전화 스팸은 1인당 하루 평균 0.53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조사보다 0.06통이 늘어난 것이다.
이 중 문자로 오는 060 성인스팸과 음란성 URL-SMS스팸이 소폭 증가하고, 원링 스팸도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통부는 정부와 이통사의 휴대전화 스팸 대책 마련 외에도 이용자 스스로 휴대폰 스팸 필터링 기능을 적극 이용하고, 스팸이 의심되는 전화나 메시지에 일체 대응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휴대전화 스팸 차단을 위한 5가지 실천사항
1. 휴대전화 스팸 차단어 Top 10을 휴대전화의 스팸필터링에 등록한다.
※ KISA는 매달 스팸 차단어 Top10을 선정해 발표하며, 선정된 단어는 KISA 홈페이지(www.kis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4월 스팸차단어는 080, 거부, 연락, 대리, 서울, 운전, 상담, 긴급, 자금, 광고이다.
2. 간편 신고 기능이 있는 휴대폰은 반드시 스팸 신고한다.
※ 휴대전화 스팸신고는 휴대전화에서 이동통신사 고객센터(국번 없이 114번)로 신청할 수 있다(무료).
3. 이동통신회사의 060 일괄차단 서비스 신청한다.
4. 060 등 스팸전화로 의심되는 경우는 일체 응답하지 않는다.
5. 불법스팸은 1336(www.spamcop.or.kr)으로 신고한다.
[김선애 기자(boan1@boannews.co.kr)]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