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5654, CVE-2016-5655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7월 19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9일에서 20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2775
ISC BIND 9.9.9-P2 이전의 9.x 버전, 9.10.4-P2 이전의 9.10.x 버전, 9.11.0b2 이전의 9.11.x 버전에 있는 취약점으로 lwresd 옵션이 활성화되었을 때 원격의 공격자가 긴 요청을 통해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2. CVE-2016-5080
Objective Systems ASN1C for C/C++ 7.0.2 이전 버전의 asn1rt_a.lib의 rtxMemHeapAlloc 함수에 있는 정수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조작된 ASN.1 데이터를 통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하거나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3. CVE-2016-5653
Misys FusionCapital Opics Plus의 다수 SQL 인젝션 취약점으로 원격에서 승인된 사용자들이 ID나 Branch 매개변수를 통해 임의의 SQL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4. CVE-2016-5654
Misys FusionCapital Opics Plus의 취약점으로 원격에서 승인된 사용자가 중간자 공격을 통해 권한을 탈취할 수 있게 해준다.
5. CVE-2016-5655
Misys FusionCapital Opics Plus의 취약점으로 X.509 인증서를 확인하지 않는다. 이로써 중간자 공격을 하는 공격자들이 민감한 정보를 훔쳐낼 수 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