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장비는 단순 행정 자산 아닌 국가안보 장비...정부 관리 시급”
[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관세청 사이버보안 장비가 내용연수를 초과해 노후화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내용연수란 물품의 경제적·효과적 사용 기간으로, 내용연수를 초과한 장비는 노후한 것으로 간주한다.

[자료: 정일영 의원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관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관세청이 현재 운영 중인 29종 97대의 보안장비 중 9종 17대(약 18%)가 내용연수를 초과해 노후화된 상태다.
핵심 방어 장비인 ‘무선위협차단시스템’은 내용 연수를 4년 초과해 2014년 도입 이후 11년째 사용되고 있으며, ‘통합로그분석시스템·유해사이트차단시스템’ 등도 2016년 도입 이후 교체 없이 9년째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세청에 대한 사이버 공격 시도는 2023년 513건애서 2024년 2913건으로 6배 가까이 급증했고, 올해 8월까지 1118건을 기록했다. 공격 유형도 웹 접근시도와 스캐닝, DDoS 등 지능화·다변화된 양상을 보인다.

[자료: 정일영 의원실]
사이버보안 장비는 단순 물리적 내구성보다 기술적 최신성이 보안성과 직결된다는 것이 전문가들 지적이다. 내용연수를 초과한 장비는 최신 위협 정보를 반영하기 어려워 탐지·차단 성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일영 의원은 “사이버보안 장비는 단순 행정자산이 아니라 국가 사이버안보의 최전선에 있는 ‘디지털 방패’”라며 “관세청은 국가 물류·통관의 핵심 기관이라 단 한 번의 보안 사고가 국가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보안 예산과 장비 교체 주기를 전면 재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재호 기자(sw@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