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악명 높은 해커 인텔브로커, 환경부 소스코드를 블랙마켓 ‘브리치포럼’에 공개
2. 환경부, 정보화담당관실에서 소스코드 해킹 여부 파악 중
3. 환경부, 보이스피싱과 X계정 해킹에 이어 소스코드 유출까지 보안 ‘구멍’
[보안뉴스 김경애 기자] 최근 환경부가 해킹 피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해 11월 24일 환경부를 사칭한 보이스피싱에 이어 12월 28일에는 SNS X 계정 해킹, 이번에는 환경부 소스코드로 추정되는 데이터가 다크웹의 대표적인 해킹포럼인 ‘브리치포럼’에 올라온 정황이 포착됐다.
▲인텔브로커가 환경부 소스코드를 해킹했다고 주장하며 공개한 블랙마켓 브리치포럼 화면[이미지=보안뉴스]
2025년 1월 1일 오전 1시 31분 악명 높은 해커 인텔브로커가 환경부 소스코드를 브리치포럼에 공개했다. 인텔브로커는 “환경부의 전체 소스코드를 유출했고, X 계정을 탈취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최고”라고 도발하면서 한국 트리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브리치포럼에 공개했다.
▲인텔브로커 해커가 브리치포럼에 샘플로 공개한 환경부 홈페이지의 파일리스트 화면과 실제 환경부 홈페이지 대조 화면[이미지=보안뉴스]
인텔브로커가 공개한 데이터는 환경부 홈페이지 소스코드 전체로 추정되는 파일 목록 샘플이며, 실제 환경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한 결과 파일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2일 환경부 대변인실은 “환경부 정보화담당관실에서 소스코드 유출 여부에 대해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 환경부 홈페이지에 존재하는 파일과 해커가 공개한 파일이 일치한 것에 대해서는 “소스코드 유출 여부에 대해 파악 중이란 것 외에 현재로서는 답변해줄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환경부 X 해킹 관련 공지 화면[이미지=보안뉴스]
이에 앞서 환경부는 28일 공식 SNS X 계정을 해킹당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환경부는 공식 X 계정이 해킹되어 로그인이 불가능하다며 즉시 신고 조치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환경부 공식 X 계정 사칭 메시지 및 해킹된 채널로 업로드되는 게시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해 11월 24일에는 보이스피싱 주의 안내를 공지한 바 있다. 환경부를 사칭해 ‘2023년 종량제 봉투 지원사업 관련 안내’ 문자가 발송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보이스피싱 사기수법은 금전 탈취 목적으로 종량제 봉투 할인안내 문자 발송 → 특정사이트로 접속 유도 → 계좌이체를 유도했다.
이와 관련 당시 환경부는 파악된 보이스피싱 문자번호는 010-2426-일육일이, 010-7775-일육일이라고 공지했다. 그러면서 환경부는 ‘종량제 봉투 지원사업’을 하고 있지 않으며, 소상공인 등에게 개별 문자를 발송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환경부를 사칭한 보이스피싱 화면[이미지=보안뉴스]
이처럼 최근 환경부가 보안에 잇따라 구멍이 뚫리며, 해킹 피해를 연이어 입고 있다. 해킹 피해 여부 파악은 물론 보안 강화 조치가 시급한 상황이다.
순천향대 염흥열 교수는 “사이버공격은 민간과 공공을 가리지 않는 만큼, 해킹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며 “보안사고 발생이 확인되면, 본인확인 과정을 통해 해킹된 SNS 계정을 복구하고, 2단계 인증을 적용해 안전한 비밀번호 설정 등과 같은 SNS 계정 보안수칙 적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 소스코드 유출 원인과 경위 파악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염흥열 교수는 “소스코드 유출의 경우, 해커가 이를 분석해 소스코드의 잠재적인 취약성을 찾아 2차 사이버 공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무엇보다 정부부처에 대한 해킹 사고가 발생하면 이를 통해 2차 또는 3차 공격이 가능하고 파장도 커지는 만큼 서둘러 다각적인 사고 원인 조사 및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리니어리티의 한승연 대표는 “공개된 파일 리스트를 보면 ‘202412301928’, ‘202412302006’ 등의 파일명을 확인할 수 있는데, 날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렇다면 공격자가 서버에 접속한 시간은 12월 30일 전후로 추정할 수 있다. 파일 리스트와 유출 시간 등을 토대로 공격자가 어떤 서버에 어떻게 접속했는지를 확인해 차단해야 하며, 유출된 소스코드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공격에 대한 대응 또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경애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