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보안과 사이버보안, 융합보안 솔루션까지 한자리에
3월 29일~31일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8홀에서 열려
스냅태그, 워터마크 보안 솔루션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3/03/64376559_4255.jpg)
[이미지=스냅태그]
스냅태그는 IT를 기반으로 IP 인증, 에듀테크,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대표적인 보안 솔루션으로 비가시성 워크마크인 ‘랩코드’를 개발했다. 스냅 태그는 이번 ‘SECON & eGISEC 2023’에서 워터마크 보안 솔루션 ‘랩코드’를 선보인다.
랩코드 기술 기반 보안 솔루션은 화면 보안 솔루션과 출력물 보안 솔루션으로 구성돼 있다. 스냅태그의 랩코드 워터마크는 기존 워터마크와 달리 화면과 출력물에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를 낮춰주고 업무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워터마크 투명도 조절을 통해 보안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업무 상황에 따라 보안 강도를 조절해 보안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최소 면적(20mmx20mm)으로도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워터마크 일부분이 훼손되더라도 손쉽게 시간이나 유출자 등 유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스냅태그는 앞으로 차별화된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바탕으로 사업 확장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스윔레인, 코드 보안 자동화 플랫폼 ‘터바인’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3/03/64376559_5919.jpg)
[로고=스윔레인]
스윔레인은 클라우드 규모의 로우(LOW) 코드 보안 자동화를 제공하는 보안 전문기업이다. 스윔레인은 보안팀이 SOAR 이외의 솔루션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며 프로세스 및 데이터 피로는 물론 만성적인 인력 부족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스윔레인은 ‘SECON & eGISEC 2023’에서 ‘터바인’을 선보인다. 터바인은 로우(low) 코드 보안 자동화 플랫폼으로 폐쇄형 XDR(Extended Detection and Response) 에코시스템을 넘어 실행 가능성을 확장해 가고 있다. 또한, 연결하기 어려운 원격 지원 시스템들과 연동해 필요한 정보를 측정하고 현지 시스템에서 직접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췄다.
SIEM 경보 분류, 피싱, 위협 인텔리전스와 같은 기본 보안운영센터(SOC) 워크플로를 자동화하는데 사용되는 복잡한 SOAR 플랫폼과 차이가 있다. SOC 사용 사례가 중요하지만 보안 팀은 원격 지원 시스템들과 연동해 정보를 수집하고 SOC 내부 및 외부의 보안 운영의 모든 측면을 자동화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개인정보 보호, 감사, 규정 준수, 법적 eDiscovery, 취약성 패치 관리 및 사용자 온·오프 보딩과 관련된 워크플로 자동화가 포함될 수 있다. 스윔레인은 지난 10년 동안 SOC 내외부에서 보안 사용 사례를 자동화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아이넵, 암호화 전문 솔루션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3/03/64376559_3093.jpg)
[로고=아이넵]
아이넵은 DB 암호화, 비정형 데이터 암호화, 실시간 로그파일 암호화, 개인정보보호 제품 및 차세대 암호화 기술인 동형 암호화 등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암호화 전문 사이버보안 기업이다. 아이넵은 이번 ‘SECON & eGISEC 2023’에서 암호화 기반의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인다.
‘로그파일 암호화’는 실시간으로 적재되는 다양한 로그파일 등에 대해 암호화한다. DMZ 영역에서의 로그파일을 실시간으로 암호화해 1차적으로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안전한 개인정보보호 환경을 구축한다. ‘DB 암호화’는 다양한 DBMS 내에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암호화한다. API 방식, Plug-In 방식뿐만 아니라 업무 수정 없는 Filter 방식의 기술로 보유하고 업무 적용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암호화’는 Naver Cloud, NHN Cloud, KT Cloud, 카카오 Cloud, AWS, Azure 등 다양한 환경에서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암호화 서비스다. 다양한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에 등록이 되어 있으며 월 구독 서비스로 간단하게 클라우드 암호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그 외에도 △동형 암호화 △개인정보 검출 및 마스킹 △통합키관리 등 다양한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한편, 물리보안과 사이버보안을 아우르는 국내 최대 통합보안 전시회인 SECON & eGISEC 2023(제22회 세계 보안 엑스포 & 제11회 전자정부 정보보호 솔루션 페어)는 3월 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8홀에서 개최된다. SECON & eGISEC 2023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등록하면 무료로 참관할 수 있다.
[박은주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