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인해 사정이 조금 달라져...조금씩 예전의 인기 되찾기는 할 듯
[보안뉴스 문가용 기자] 지금으로부터 1년 전, 데이터 과학은 IT 분야에서 가장 유망한 직종으로 손꼽혔었다. 누구나 데이터 과학을 말하고, 각종 데이터 과학 코스가 온라인 교육 시스템으로 제공되기 시작했다. 올해 4월까지만 하더라도 데이터 분석가들의 연봉은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모든 것이 그렇듯 팬데믹이 이러한 사정을 바꿔놓았다.

[이미지 = utoimage]
코로나 사태 초기에는 팬데믹이 선포되었다 하더라도 IT 업계와는 별개의 사건으로 보였다. 하지만 봄과 여름이 지나면서 상황이 급변하기 시작했다. 구인구직 사이트인 Indeed.com이 지난 7월 발표한 바에 따르면 기술 분야의 구인구직 게시물이 2019년에 비해서만이 아니라 전체 평균에 비해서도 크게(36%) 줄어들었다고 한다. 즉 코로나의 직격탄을 맞은 산업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데이터 과학자들의 구인율과 취직률은 더 처참하게 떨어졌다(43%).
그렇게나 유망하다고 했던 데이터 과학이 갑자기 구인구직 시장에서 찬밥 신세가 된 이유는 무엇일까? 분석가들은 사실 데이터 과학자라는 전문직에 대한 고용주들의 생각이 변하고 있다고, 코로나 이전부터 말해왔다. 데이터 과학자라는 모호한 기술을 가진 사람들보다 ‘사이버 보안 분석가’나 ‘인공지능 제품 관리자’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전문가들을 찾기 시작했다는 것이 데이터 과학자들의 설명이었다.
하지만 이것이 데이터 과학자들의 현재 구인구직 시장에서의 부진을 온전히 설명하지는 못한다. MIT 슬로운 매니지먼트 리뷰(MIT Sloan Management Review)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데이터 과학 모델들이 2020년의 일을 예견하는 데에 완전히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누구도 2020년과 같은 해를 요 몇 년 사이에 겪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예측을 위한 데이터가 전무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고급 분석 기술, 특히 미래 예측을 위한 데이터 분석 기술에 대한 회의를 갖기 시작했다고 보고서에는 적혀 있다. 그러면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을 정리해줄 인력을 선호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예측하기 힘든 날들이 우리 앞에 아직 한참 남아 있는 지금, 데이터 과학이라는 분야는 이렇게 사라지는 걸까? 그것 역시 예측 불가의 영역이다. 하지만 구인구직 시장의 트렌드를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사람들에 의하면 데이터 과학의 인기가 다시 올라갈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데이터 과학자를 찾는 회사가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데이터 과학자들의 봉급 수준은 상승 중이기도 하다. 이번 주 주말판에서는 데이터 과학과 관련이 있는 분야의 현 상황을 정리해 본다. 해외 사정이긴 하지만 앞으로의 상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 데이터 과학자
1) 평균 연봉 :
- 2020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25,250
- 2021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29,000
- Glassdoor.com 기준 : $113,309
- Indeed.com 기준 : $121,662
2) Indeed.com 기준 구인구직 게시글 : 3,793
3) 데이터 과학자들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 속에서 패턴과 통찰을 이끌어내는 사람들이다. 데이터를 정리, 통합하여 나름의 모델링을 구축한 뒤 알고리즘을 선택해 분석을 실행하는 게 이들의 할 일이다.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만드는 것도 역시 이들의 책임이다. 예전에는 최소 석사학위를 가진 자들이 선호됐는데, 최근에는 데이터 과학이나 통계, 수학, 컴퓨터 과학 학사학위를 가진 사회 초년생들도 배제되지 않는 분위기다. 파이선이나 R을 다룰 줄 아는 게 유리하다.
2. 데이터 분석가
1) 평균 연봉 :
- 2020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00,250
- 2021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03,250
- Glassdoor.com 기준 : $62,453
- Indeed.com 기준 : $75,034
2) Indeed.com 기준 구인구직 게시글 : 4,479
3) 데이터 분석가들은 데이터 과학자들과 비슷한 임무를 수행한다. 다만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룰 줄 안다거나, 복잡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데이터베이스나, DB 관련 도구들을 다루는 데 능숙하며, 특히 사업에 필요한 첩보들을 다루고 활용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마케팅, 영업, 위험 분석, 사이버 보안 등과 짝을 이뤘을 때 높은 기능성을 발휘한다. 학사 학위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3. 분석 관리자
1) 평균 연봉 :
- 2020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N/A
- Glassdoor.com 기준 : $97,077
- Indeed.com 기준 : $120,280
2) Indeed.com 기준 구인구직 게시글 : 429
3) 말 그대로 분석도 할 줄 알고, 사람들을 지휘 및 관리할 줄도 알아야 한다. 학사학위만으로도 충분하다고는 하지만, 사실 기업들은 그보다 높은 학위를 요구하는 편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학위가 대단히 중요한 요소인 것은 아니다. 아무래도 관리자이다 보니, 현장에서의 경험이 훨씬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현장에서 최소 5년의 경험을 가진 자들이 분석 관리자가 되는 게 일반적이다.
4. 빅 데이터 엔지니어
1) 평균 연봉 :
- 2020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63,250
- 2021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66,500
- Glassdoor.com 기준 : $102,864
- Indeed.com 기준 : N/A
2) Indeed.com 기준 구인구직 게시글 : 262
3) 빅 데이터 엔지니어들은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레이크 등과 같은 빅 데이터 환경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데이터 아키텍트나 데이터 과학자들과는 ‘영혼의 동반자’와 같은 관계로 일을 한다. 이 분야의 전문가들은 컴퓨터 과학이나 프로그래밍 쪽에서 높은 학위를 취득한 사람들이 많다. 하둡(Hadoop), 스파크(Spark), 하이브(Hive), NoSQL 데이터베이스, 각종 프로그래밍 언어를 잘 다룰 줄 아는 게 보통이다. 또한 현장 경험이 꽤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클라우드에 대한 숙련도를 기대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5. 머신러닝 엔지니어
1) 평균 연봉 :
- 2020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N/A
- 2021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N/A
- Glassdoor.com 기준 : $114,121
- Indeed.com 기준 : $143,505
2) Indeed.com 기준 구인구직 게시글 : 758
3) 데이터 과학자 혹은 빅 데이터 엔지니어 중 머신러닝 관련 기술에 특화된 사람들을 머신러닝 엔지니어라고 부르는 것이 지금 시장의 상황이다. 텐서플로(TensorFlow)나 스파크(Spark)와 같은 도구를 능숙히 다룰 줄 알며, 머신러닝이라는 기술과 관련하여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머신러닝을 사용해 회사의 사업적 필요를 채워줄 수 있는 사람들이다. 학사학위를 가지고 있다면 다년의 현장 경험이 요구되고, 그 이상의 학위를 가졌다면 현장 경험이 좀 부족하더라도 괜찮다.
6. 데이터 아키텍트
1) 평균 연봉 :
- 2020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41,250
- 2021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45,500
- Glassdoor.com 기준 : $108,278
- Indeed.com 기준 : N/A
2) Indeed.com 기준 구인구직 게시글 : 1,150
3) 데이터 아키텍트는 빅 데이터 엔지니어가 구축 및 관리하며, 데이터 과학자,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관리자가 일상의 업무 가운데 항상 사용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데이터 과학 업무 프로세스와 도구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요즘은 각종 클라우드 서비스와도 연계해야 하므로, 클라우드에 대한 지식도 필수적이다. 주로 컴퓨터 과학 등의 분야에서 학사학위 이상 가진 사람들이 선호되는데, 데이터 관리 등과 같은 분야에서 5년 이상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뽑힌다.
7.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분석가
1) 평균 연봉 :
- 2020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10,250
- 2021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15,750
- Glassdoor.com 기준 : $76,402
- Indeed.com 기준 : $95,642
2) Indeed.com 기준 구인구직 게시글 : 512
3)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운영하고, 근무 시간의 대부분을 보고서 작성에 쓴다. 데이터 과학자와 친밀하게 작업을 하기도 하는데, 항상 그런 건 아니다. 오히려 사업 진행이나 생산과 관련된 다른 부서와도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하기도 한다. 첩보나 데이터를 잘 다룰 줄도 알아야 하지만, 조직이 속해 있는 산업의 구조와 현 상황에 대한 깊은 이해도도 요구된다. 과학과 수학, 경영 등의 분야에서 학사학위 이상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8.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개발자
1) 평균 연봉 :
- 2020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N/A
- 2021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N/A
- Glassdoor.com 기준 : $81,514
- Indeed.com 기준 : $102,163
2) Indeed.com 기준 구인구직 게시글 : 277
3) 빅 데이터 엔지니어와 마찬가지로 비즈니스 인텔리전시 관련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구축, 운영, 유지하는 것을 책임진다. 하지만 좀 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분석가들이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에 치우쳐져 있다. 그러므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분석가들보다는 데이터 과학 관련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경우가 더 많다. 컴퓨터와 정보 과학에서의 학사학위 이상이 요구되며,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도구들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또 파이선과 R을 다루는 것이 큰 ‘플러스’ 요인이 된다.
9. 통계 전문가
1) 평균 연봉 :
- 2020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N/A
- 2021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N/A
- Glassdoor.com 기준 : $76,884
- Indeed.com 기준 : $98,986
2) Indeed.com 기준 구인구직 게시글 : 1,510
3) 복잡한 수학 연산을 수행해야 할 때도 있고, 분석가들이나 데이터 과학자들을 도와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할 때도 있으며,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를 분석하기도 한다. 즉, 조직마다 통계 전문가를 모집하는 이유가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데이터 정화 및 확인과 같은 작업을 진행한다. 하도 하는 일이 다르고 방대해서 평균 연봉을 낸다는 게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10.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1) 평균 연봉 :
- 2020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00,250
- 2021 Robert Half Technology Report 기준 : $100,750
- Glassdoor.com 기준 : $78,779
- Indeed.com 기준 : $98,253
2) Indeed.com 기준 구인구직 게시글 : 2,297
3)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들은 매일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사람들의 업무를 살피고,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한다. 누군가 데이터베이스를 비정상적으로 활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모니터링 하는 것은 물론이고, 데이터베이스의 여러 가지 오류들도 바로잡는다. 재택 근무자가 많은 상황에서는 회사 밖으로 출장을 자주 나가기도 한다. 때문에 DB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숙련도도 필요하지만 현장 경험이 높은 가치를 갖는다. 시스템 오류를 다양하게 경험해 봤을수록 유리하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