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3D프린팅의 핵심 기술인 맞춤형 슬라이서 SW를 개발했다. 개발된 SW는 DLP 방식의 3D프린팅을 활용한 치아 출력에 최적화된 맞춤형 슬라이서 SW다.
[사진= 전자부품연구원]
이제까지 국내 DLP 방식 3D프린터 제조사들은 150만~300만원대의 범용 외산 슬라이서 SW를 탑재하면서 가격경쟁력이 떨어졌다. 아울러 불필요하게 복잡한 기능으로 수요자인 치기공소의 불편은 물론 출력소재별 경화 시간이나 광량의 미세 조정 등 장비 고유의 출력 노하우를 반영할 수 없어, 장비 자체의 우수성과 상관없이 외국 3D프린터와의 경쟁이 어려웠다.
KETI는 이와 같은 3D프린팅 장비업계의 현실을 감안해 간결한 UI와 함께 다수의 치아를 동시에 출력하기 위한 자동 배치 기능, 치아 서포트 추천 기능, 후처리 최소화를 위한 회전 기능, 슬라이싱 및 적층 단면 영상 생성 기능 등 치기공소에 특화된 맞춤 기능 개발에 주력했으며 슬라이서 SW 국산화를 통해 3D프린터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술개발을 총괄한 KETI 지능형영상처리연구센터 신화선 책임연구원은 “이번 슬라이서 SW는 정부 지원을 받아 개발한 슬라이싱 엔진을 기반으로, 3D 렌더링 엔진을 추가로 통합해 향후에도 기업 요구 사항에 맞게 특화할 수 있는 SW”라며, “앞으로 자동 서포트 생성과 같은 신기능을 지속적으로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KETI ‘3D프린팅 슬라이싱 엔진’의 핵심 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한 ‘국내 보급형 3D프린터 맞춤형 스마트 슬라이서 개발’ 과제로 개발됐으며, 이번 치아용 맞춤형 슬라이서 SW는 헵시바의 기업수탁과제로 개발해 현재 헵시바 장비에 번들로 제공 중이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