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미래부는 4차 산업혁명 대비 국가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사회문제의 시급한 해결을 위해, 인공지능·미세먼지·탄소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 사업단장을 선정·임명했다.
인공지능 사업단장에는 고려대학교 박재득 교수를, 미세먼지 사업단장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배귀남 박사를, 탄소자원화 사업단장에는 서울대학교 이경훈 교수를 임명했다.
각 프로젝트는 국가 R&D 역량 결집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선도·깨끗한 대기환경 회복·기후변화에 대한 효과적 대응을 위한 핵심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지난해 8월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선정된 바 있다.
미래부 등 관계부처는 예산 확보 및 시행 공고와 사업단장 선정 평가를 거쳐 이번에 사업단장을 최종 선정·임명하게 됐다.
각 사업단별 사업 내용과 사업단장의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인공지능 사업단은 2023년까지 1704억원(2017년 233억원)을 투입해 글로벌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지능정보기술 강국 코리아’ 실현을 위해 AI 공통 플랫폼 개발과 차세대 AI 기술 연구 등을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인공지능 사업단장으로 임명된 박재득 고려대학교 교수는 삼성전자, ETRI, KEIT 등에서 오랫동안 인공지능, SW 분야의 기술 개발 및 R&D 기획을 수행해 온 바 있다.
박재득 교수는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4차산업의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전략적인 R&D 투자가 중요하다”며, “국내의 R&D 역량을 집중해 글로벌 수준의 인공지능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미세먼지 사업단은 2019년까지 496억원(2017년 120억원)을 투입해 최근 대두되고 있는 미세먼지 문제를 과학기술에 기반해 발생 원인 규명, 정확한 측정과 예보, 효율적 집진·저감, 건강영향 평가 및 국민 보호까지를 아우르는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미세먼지 사업단장으로 임명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배귀남 박사는 미세입자 거동 연구 전문가로, 미세먼지 분야에서 다양한 논문 및 정책보고서를 집필한 바 있다.
배귀남 박사는 “최근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속속 밝혀지고 있는 가운데 고농도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증거가 불충분해,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가고 있다”며, “미세먼지 사업단을 중심으로 과학적·근원적 원인 분석에 바탕을 두고, 측정·저감·보호 분야별로 현장에서 즉시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행복지수 증진에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탄소자원화 사업단은 2022년까지 475억원(정부 지원 총 340억원, 2017년 120억원)을 투입해 새로운 혁신적 감축 기술인 탄소자원화 기술로 온실가스를 감축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나아가 신기후시장 창출을 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탄소자원화 기술은 부생·온실가스 내 탄소원(CO, CH4, CO2 등)을 활용해 유용한 화학원료·연료 등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탄소자원화 사업단장으로 임명된 서울대학교 이경훈 교수는 오랜 기간 산업계에서 기술 개발 및 실증 경험을 쌓은 전문가로, 탄소자원화 핵심 요소 기술의 실증 프로젝트에도 관여한 바 있다.
이경훈 박사는 “최근 신기후 체제의 출범과 배출권 가격 상승으로, 관련 산업계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부담이 높아만 가고 있다. 그간 산업계에서 다양한 기술 개발·실증을 이끌어 온 경험으로, 탄소자원화 사업단이 탄소자원화 기술의 경제성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입증해 이제 막 형성되고 있는 신기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선정 소감을 밝혔다.
미래부는 이번 사업단장 임명을 계기로, 미래 사회의 최대 화두인 4차산업과 미세먼지 및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