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강현주 기자] 최근 SKT 사태와 같은 고객 정보 유출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개인정보보호 인증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개인정보보호 책임자(CPO)의 위상을 제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는 최근 발생한 SKT 고객 정보 유출 사고를 계기로 강화된 개인정보 안전 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한국CPO협의회(회장 염흥열)와 정책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엔 카카오, LG유플러스, KT, 쿠팡, 삼성전자, LG전자, 비바리퍼블리카, 국민은행 등 협의회 부회장사 소속 기업 CPO들 다수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개인정보 침해 사고 발생 시 국민과 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개인정보 안전 관리 체계 강화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고, 구체적 실행 방안을 논의했다.
개인정보 처리가 수반되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개인정보 유·노출 취약점 사전 점검 분석 기능을 강화하고, 개인정보보호 인증(ISMS-P) 제도의 실효성 확보 및 암호화 대상 정보 항목의 명확화 등 안전성 확보 조치 강화 방안이 언급됐다.
또 다크웹 모니터링 강화 등 정보 주체 및 유출 사고 피해자에 대한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구제 체계 마련을 위한 의견도 제기됐다.
공공·민간의 개인정보보호 기반과 개인정보처리자의 내부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인력·조직·예산 등 인적·물적 자원의 최소 기준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지정신고제 및 신분 보장 등을 통한 위상 제고 방안도 거론됐다.
개인정보위는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협의회와 함께 21일 주요 공공기관·민간기업 대상의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또 개인정보 안전관리체계 강화 방안에 대해 추가적인 의견 수렴을 거쳐 5월 말까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