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월례 브리핑에서 “대선 국면에서 공공이나 국방, 민간에서 (SKT 해킹과 같은) 침해 사고가 일어나면 대단한 혼란을 줄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추가적 사고를 막기 위해 과기정통부는 기업 6000여곳과 정부 부처에 SKT 서버에서 발견된 악성코드 정보를 공유하고, 긴급 보안 점검도 요청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이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자료: 연합]
SK텔레콤 해킹 사건에 대한 조사 결과는 6월말쯤 발표된다. 위약금 면제에 대한 결정도 조사 결과에 따라 이뤄질 전망이다.
유 장관은 “SKT 해킹에 따른 위약금 면제에 대해 “로펌 검토 결과를 보고 받았지만 아직 명확하지 않다”며 “민관 합동 조사단의 결과를 봐야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민관 함동 조사단은 최대 2개월 조사를 거쳐 6월말 조사 결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진행 중인 SKT 서버 전수 조사 과정에서 공유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 나오면 중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위약금 면제 외에도 가입자 피해를 보상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SKT가 결정할 문제지만 고객의 정신적 피해를 보상한다는 측면에서 일정 부분 생각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신규 가입 모집 중단을 권고한 행정지도는 유심 수급 등을 볼 때 1-2달 후 해제할 여건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유 장관은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피싱 사이트를 신속 차단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며 “경찰청과도 정보를 공유해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세희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