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 및 환경에 대한 아시아 지역 비즈니스 리더의 관점 수집 목표
[보안뉴스 박은주 기자]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시장 조사 및 데이터 분석 회사 밀리유(Milieu)와 함께 ‘지속가능한 경영을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혁신(innovation for a sustainable future through sustainable business practice)’ 리포트를 발표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혁신’ 리포트를 발표했다[이미지=슈나이더 일렉트릭]
조사는 5월 9일부터 6월 4일까지 약 한 달간 싱가포르,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대만,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9개 국가의 비즈니스 리더 약 4,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조사를 통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기업 관계자의 태도 변화와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민간 부문의 역할, 에너지 소비 및 에너지 전환을 위한 기업의 준비 단계에 대한 비즈니스 리더의 관점을 수집했다. 질문은 △지속가능성 △기후 변화 및 탈탄소화 △디지털화 및 에너지 관리 3가지 부문에서 총 30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한국은 비즈니스 중간 관리자, 관리자, C-Level 약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지속가능성 문항에 대해 한국 비즈니스 리더의 94%는 회사가 지속가능성 목표를 설정했으며, 이 중 64%가 지속가능성은 향후 4년 내로 수행할 단기 목표라고 말했다.
또한, 참여 기업 중 47%가 지속가능성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38%는 목표가 있는 포괄적인 지속가능성 전략을 채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1%는 기업, 투자자 및 금융 기관을 포함한 민간 부문이 지속가능성 관련 전략, 정책 및 주도권을 위해 충분히 투자하고 있다는 데 동의했다.
해당 설문조사 결과, 도전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지속가능성의 중요한 이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부분의 응답자(95%)는 지속가능성이 인재 확보 및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굳게 믿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가능성이 비즈니스 기회 증가의 관문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후 변화 및 탈탄소화 부문에서는 한국 기업의 34%만이 기후 변화를 비즈니스의 실질적인 위험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변화 대응에 대해서 기업은 지속 가능성 주도권을 가진 것에 비해 헌신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단 17%만이 회사가 기후 위기 대응에 전적으로 헌신하고 상당한 투자를 한다고 말했다.
응답자의 43%는 명확한 탈탄소화 목표를 설정했다고 밝혔으며, 에너지 효율적인 조명 및 장비를 사용해 에너지 소비를 감소하거나(34%), 운송 수단을 저탄소 또는 전기 자동차로 전환하는 것(28%)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계획을 구현하는 등 노력한다고 말했다.
디지털화 및 에너지 관리 부문에서는 조사 대상자의 88%가 디지털화를 지속가능성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더불어 에너지 효율성을 지속가능성 계획의 기본 구성 요소로 우선시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응답자들은 기업이 현재 직면하고 있거나, 미래에 예상되는 에너지 관련 위험으로 변동하는 에너지 가격(49%), 에너지 공급 또는 수요의 변화(42%)를 꼽았다.
[박은주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