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원병철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 이원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와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중이용 서비스의 안전한 이용환경 조성을 위해 비대면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는 중소·영세기업 대상으로 보안 취약점 점검을 지원한다고 3월 18일(금) 밝혔다.

[이미지=KISA]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를 틈타 전 세계적으로 랜섬웨어 공격 및 정보 탈취 목적의 사이버보안 위협이 증가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은 사이버 공격 발생 가능성을 대비하기 위해 경각심을 가지고 선제적인 피해 예방 및 보안 강화가 필요하다. 이에, KISA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비대면 서비스를 개발·운영하는 중소기업의 보안수준 강화를 위해 보안 취약점을 발굴하고 조치하기 위해 기술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보안 취약점 점검은 △홈페이지 △모바일 앱 △개발·운영 환경 등 기업의 시스템 운영 환경에 맞추어 진행되며, KISA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보안 이슈가 됐던 Log4j 취약점 등도 면밀히 살펴볼 예정이다. 더 나아가, KISA는 더 많은 기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점검 대상을 350개로 확대하고, 메타버스·NFT 등의 신기술을 활용한 다중이용 서비스도 대상에 포함했다. 신청은 오는 3월 18일부터 접수할 예정이며, 신청 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KISA 보호나라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KISA 신대규 사이버침해대응본부장은 “KISA는 지난해 점검 지원을 통해 다수의 기업이 자체적으로 찾을 수 없었던 취약점을 찾고 조치해 중소기업의 보안수준 강화에 기여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다중이용 서비스뿐만 아니라 국민 피해와 직결되는 보안 사각지대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점검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원병철 기자(boanone@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