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만명 이상 사용하는 스마트폰 이용 실태 조사 결과
스마트폰 사용인구 400만명 시대에 이들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이용 형태 등은 향후 스마트폰 관련 시장과 문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최근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실태를 조사했다.
2009년 11월말 애플의 아이폰 3Gs의 국내 판매를 계기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수는 2010년 9월 현재 442만 3,000명에 이르고 있다.
이는 전체 이동통신 이용자 5,026만명의 8.8%에 해당하는 수치로서 이러한 추세라면 연말에는 스마트폰 이용자 수가 6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스마트폰 이용자의 대부분은 일반 이동전화를 이용하다가 스마트폰으로 교체한 것이다.
또한 이의 과반수 정도는 통신사를 변경한 것이다. 따라서 대다수 이용자의 사용기간이 채 6개월을 넘지 않았으므로 이들의 스마트폰 이용 행태 등은 향후의 스마트폰 관련 시장이나 문화에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여기에서는 최근에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실시한 ‘스마트폰 이용 실태 조사’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자 하며 이는 스마트폰 제조업체나 통신사 앱 개발업체 등이 향후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하루 1번 이상 인터넷 사용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모바일앱 등)의 설치ㆍ이용과 자유로운 인터넷 이용을 주된 이용 동기로 꼽고 있으며 주로 디자인 및 크기와 운영체제(OS) 및 조작 방식 및 편리성을 고려하여 폰을 선택 구입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 접속기능을 압도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GPS(지도, 위치기반서비스 등)나 신규 모바일앱 설치 및 이용, 이메일, 문서작업 등 기존과는 달리 스마트폰에 특화된 기능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차별화된 스마트폰을 이용함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자의 과반수는 스마트폰을 이용함으로써 인터넷 이용이 증가하거나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 또는 정보공유 활동이 증가하였고 또한 스마트폰 이용이 학업 또는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스마트폰을 이용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이용에 대한 부담감이 감소하거나 가정, 직장 등에서 PC 등을 통한 인터넷 이용이 가능해도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등 스마트폰 이용이 인터넷 이용 등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자 10명중 9명은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이용자로서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이용시 주로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웹사이트인 모바일 웹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모바일앱, 일반 웹사이트 등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이용자의 대부분은 하루 1번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약 1시간 가량으로서 인터넷 접속 방법 중 무선랜(WiFi)을 가장 선호(65.4%)하는 동시에 주로 이용(63.0%)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한 주된 인터넷 이용 장소는 이동중인 교통수단 안(77.0%)이었으며 길거리 등의 실외장소(59.4%), 가정(55.9%), 상업시설(54.2%)에서 이용하는 경우도 50% 이상이었다.
한편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이용자의 29.9%가 스마트폰에 탑재된 기본 검색창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또한 기본 검색창 이용시 스마트폰 운영체제(OS)에 따라 기본 설정된 특정 검색엔진만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도 69.5%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이용자의 62.9%는 기본 검색창을 통해 다양한 검색엔진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검색엔진이 필요한 주된 이유로서는 PC 등에서 주로 이용하던 검색엔진을 이용할 수 없어 불편(43.2%)하다는 것과 이용자가 검색엔진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66.0%는 최근 1개월 이내에 모바일앱을 다운로드 받은 모바일앱 다운로드 이용자이었으며 이들의 25.2%가 하루에 1번 이상 모바일앱을 다운로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앱스토어를 통해 모바일앱을 다운로드 받는 경우가 82.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스마트폰 관련 커뮤니티(33.7%), 모바일앱 개발사의 웹사이트(22.5%)의 순으로 나타났다. 앱스토어를 통한 모바일앱 다운로드시 과반수는 애플 앱스토어(50.3%)를 이용하고 있었고 SKT T스토어를 이용하는 경우도 36.8%로 나타났다. 이는 이용 중인 휴대폰의 OS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현재 이용 중인 스마트폰에는 평균 23.1개의 모바일앱이 설치되어 있는 반면 주로 이용하는 모바일앱은 평균 9.1개에 불과했고 또한 무료 모바일앱은 평균 19.9개가 설치되어 있는 반면 유료 모바일앱은 평균 3.2개로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유료 모바일앱 설치자의 29.5%는 모바일앱을 구입하기 위해 월평균 10,000원 이상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격이 부담스러워서(77.5%) 유료 모바일앱을 구입하지 않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기본적으로 제공되거나 무료인 모바일앱만으로도 충분(67.1%)하다거나 구입하고 싶은 유료 모바일앱이 없다(41.2%)는 등의 이유가 모바일앱을 구입하지 않는 주된 이유이다.
모바일앱의 주요 이용 목적은 정보검색 또는 일반적인 웹서핑(87.6%)이며 다음으로 음악(MP3 등) 듣기 또는 다운로드(83.9%), 생활정보(78.1%), 길안내(77.0%), 대중교통정보(76.2%), 달력, 일정관리(74.5%) 등의 순으로 나타나 비교적 다양한 목적으로 모바일앱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마트폰 이용자의 75.3%는 스마트폰 전용 정액요금제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기본요금이 35,000원(40.4%) 또는 45,000원(38.0%)인 스마트폰 전용 정액요금제를 이용하고 있었다.
스마트폰 전용 정액요금제 이용자의 58.9%는 정액요금제 이외에 이용 요금을 추가로 지출한 경험이 있으며 그 중 30% 이상이 월평균 10,000원 미만(38.8%) 또는 10,000-20,000원(34.9%)을 추가로 지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마트폰 이용자 10명중 6명은 스마트폰 이용 요금을 절약하기 위해 모바일앱이나 동영상 등 용량이 큰 콘텐츠는 주로 PC나 무선랜을 통해 이용(65.1%)하거나 무선랜(WiFi) 접속이 가능한 곳을 찾아서 인터넷을 이용(64.3%)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요금, 사용량 등을 실시간으로 조회하면서 통화, 문자, 데이터 이용을 스스로 조절(57.3%)하거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문자메시지, 채팅, 메신저 등의 서비스를 찾아서 이용(54.2%)하는 경우도 5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이용에 있어서 비용을 의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 보안 수칙 실천 미흡
스마트폰 이용자의 47.2%는 스마트폰 보안문제(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감염, 개인정보 유출 등)에 대해 걱정하고 있었으며 주로 이메일 및 문자메시지 첨부파일 다운로드(67.7%) 또는 무선랜(WiFi), 블루투스 등 무선 네트워크 접속(64.8%)을 통해 보안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밖에도 모바일앱 등 응용프로그램 다운로드(50.3%), 웹사이트 접속(41.9%) 등에 있어서의 보안문제를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마트폰 이용자의 69.9%는 스마트폰 보안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폰 이용자 10대 안전수칙’ 중 발신인이 불명확하거나 의심스러운 메시지 및 메일을 삭제하고 있었으나 실제 다운로드 파일을 스마트폰에서 바이러스 유무를 검사한 후 사용(51.9%)하거나 비밀번호 설정 기능을 이용하고 정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49.1%)하고 있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행동할 의향은 각각 77.7%와 73.9%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보안문제에 대한 의식이 실천으로 연결되기까지에는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 이용은 대체로 만족
스마트폰 이용자 중 41.7%가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디자인 및 크기(46.5%), 단말기 조작 편리성(42.9%), 단말기 조작 반응 및 처리 속도(42.1%) 등 단말기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요금제 및 단말기 가격에 대해 만족도는 각각 13.0%와 11.7%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 중 스마트폰 재구매 의향을 가진 사람은 89.0%이었으며 특히 스마트폰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이용자는 대부분(97.0%) 향후 재구매할 의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이용자의 85.5%는 스마트폰을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스마트폰 이용에 만족하는 이용자의 경우 97.4%가 추천 의향을 보이고 있어 향후 스마트폰의 이용자는 급격히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스마트 모바일 강국 실현을 위해서는 무선데이터 요금제 개선(82.8%)과 무선랜(WiFi) 인프라 확대 및 와이브로(Wibro) 인프라 확산 촉진(81.6%)을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요소로 꼽고 있었으며 통합 앱스토어 구축의 필요성을 꼽은 경우도 50.8%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폰 이용 요금제 개선 방안으로서 주로 언급된 것은 스마트폰 전용 정액요금제의 잔여 서비스 용량 이월(31.4%) 및 스마트폰 전용 정액요금제 가격 인하(30.8%)로서 스마트폰 이용에 있어서 만족도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이용 비용에 대한 부담도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 : 채승완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정책단 조사분석팀 책임연구원(chaisw@kisa.or.kr)>
[월간 정보보호21c 통권 제123호(inf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