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강현주 기자] “국내에서 보안 유니콘이 나오도록 민간 부문에서의 경험을 공공부문에 접목하고 R&D를 산업에 연계하겠습니다.”
보안뉴스는 20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144회 CISO 포럼’에 참석한 김창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안 프로그램 매니저(PM)을 만났다. CISO협의회 멤버이기도 한 김 PM은 민간기업 CISO 출신으론 최초로, 최근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정보보안 연구개발 총괄자에 발탁됐다.

▲김창오 PM [자료: 보안뉴스]
지난 19일부로 IITP서 근무를 시작한 김창오 PM은 주요 IT 플랫폼 기업에서 CISO 및 CPO로 일하며 25년간 민간기업의 정보보안을 책임져왔다. 여행플랫폼 기업 야놀자와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 카카오모빌리티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를 역임했다. 김 PM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 정보보호 연구반(ITU-T SG17) WP3 의장이기도 하다.
주로 정부 산하 기관 등 공공부문 출신들 앉곤 하던 정보보안 PM 자리에, 수십년 민간 출신 인사가 선임된 사례는 매우 이례적이다. 그만큼 공공부문 보안 R&D 분야에 신선한 변화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다.
김 PM은 “25년 민간 기업 경력의 CISO가 선택하기엔 쉽지 않았지만, 남은 인생을 더 의미있게 보내고 싶어 결단했다”며 “민간의 추진력과 장점들을 공공에 접목하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PM은 ‘보안 유니콘’ 발굴과 육성에 의지를 보이며 “국내 보안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도록 R&D를 이끌고 싶다”고 밝혔다.
다음은 김창오 PM과의 일문일답 요지.
Q. 민간 기업에서 정부 정보보안 PM으로 오기 쉽지 않았을텐데.
A. 25년간 민간 기업에서 일해왔다. 남은 인생은 봉사하는 마음으로 일하고 싶었다. 개인적으론 이번 이직으로 연봉도 대폭 깍였다. 하지만 대한민국 보안산업이 글로벌 경쟁력 가질 수 있게 하겠단 소임으로 결심했다.
Q. 민간 CISO가 온다는 소식에 다들 놀라는 눈치다. 경계 분위기는 없나?
A. 경계 느낌보다는 뭐가 다를까라는 기대감이 더 크신 것 같다. 기존 분들이 하셨던 것도 해야겠지만 민간에서 제가 해온 방식이 있을텐데 잘 접목시킬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 기존과 똑같은 방식으로 할거면 제가 합류한 의미가 퇴색된다. 조금 더 민간의 색을 공공쪽 접목을 해보면 시너지 낼 수 있는 부분 있을 것이다.
Q. 기대 충족 위한 구체적 복안은?
A. 변화는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더 많이 고민할 것이다. 주변 분들은 5%나 10%만 변화해도 큰 거라지만, 그 정도론 성에 차지 않는다. 긍정적 방향의 변화와 시너지에 대한 기대에 부응할 생각이다. 색깔 다른 정책이 많이 나오게 할 거다. 현재 PM이 한 해 다루는 예산 규모가 1000억원 가량된다. 이 역시 규모를 대폭 늘리려 한다.
Q. 김 PM을 롤모델로 삼는 보안인들 많다. 한마디 해준다면?
A. CISO는 기술적인 업무뿐 아니라 관리적인 뷰가 확장돼야 한다. 어찌보면 일반 경영에 더 가깝다. 물론 기술 기반이 다져진 상태에서 회사경영에 참여하는 형태로 확장해 나가야 한다. 또 내 회사만이 아닌, 외부 트렌드에도 관심 가져야 한다. 국제 표준화 활동을 한 이유 중 하나 역시, 글로벌 전문가들은 어떤 생각을 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고 설득하는지 알고 싶어서 였다. 이젠 CISO도 기술에 함몰되기 보단, 위기관리와 시큐리티 경영이란 관점에서 시야를 넓혀야 한다. 귀찮겠지. 낯설겠지. 쉽진 않을 꺼다.
Q. 재임 기간중 이것 하나 만큼은 꼭 해놓고 싶은 것이 있다면?
A. 현재 우리나라 보안 업계엔 유니콘 기업 하나 없다. 꼭 발굴하고 싶다. 이를 위해 기존 R&D 사업과 기획에, 산업계 목소리를 버무려 넣을 꺼다. 연구소와 학교 중심이던 기존 R&D에 투자의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꺼다. 나 혼자만으로 되는 건 아냐. 여러 현업 CISO들과 그 길을 함께하려 한다.
△대담=유경동 보안뉴스 편집국장
△정리=강현주 보안뉴스 기자
[강현주 기자(jjo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