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권 유지 위한 재정 마련 목표로 사이버 공격
[보안뉴스 김경애 기자] 빅4 사이버 위협 국가인 러시아와 중국, 이란, 북한이 자국 이익 창출을 위해 사이버 범죄를 저지른단 분석이 나왔다.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5/02/562070979_4801.jpg)
▲러시아는 사이버 범죄 커뮤니티를 동원, 첩보 행위와 교란 작전 수행 위한 멀웨어, 악성코드, 보안 취약점, 도난 정보 등의 도구와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자료: 구글 클라우드]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Google Threat Intelligence Group)이 최근 발표한 ‘사이버 범죄: 다면화되는 국가 안보 위협’(Cybercrime: A Multifaceted National Security Threat) 보고서에 따르면 빅4 사이버 위협국(러시아, 중국, 이란, 북한)이 자국 이익 창출을 위해 사이버 범죄를 활용한다고 밝혔다.
러시아와 중국, 이란 등은 모두 사이버 범죄를 통해 국가 차원의 첩보 작전을 수행해 왔다. 이란과 중국 첩보 조직은 수익 충당을 위해 랜섬웨어를 배포했다. 북한 또한 정권 유지를 위한 재정 마련 목표로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지원을 받는 사이버 범죄 작전은 비용 절감 효과와 정부 개입 부인 용이성 등이 이점이다.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5/02/562070979_7706.jpg)
▲해커 커뮤니티 ‘브리치포럼’에서 판매한 정부 자격 증명 예 [자료: 구글 클라우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작전상 압박과 자원 부족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러시아는 사이버 범죄 커뮤니티를 동원, 첩보 행위와 교란 작전 수행 위한 도구와 인력을 확보했다.
중국은 랜섬웨어를 배포해 정보 탈취하는 ‘APT41’ 조직과 같이, 금전 목적 공격을 한다. 사이버 범죄 조직을 이용해 첩보 행위를 은폐한다.
이란은 경제 침체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랜섬웨어와 해킹 및 데이터 유출 작전으로 사이버 공격을 한다.
북한은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과 핵 야망, 정권 운영 비용자금을 직접 조달, 국제 사회 제재를 피하기 위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플랫폼 강탈에 집중하고 있다.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5/02/562070979_9610.jpg)
▲북한은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과 핵 야망, 정권 운영 비용 자금 조달 위해 암호화폐 탈취, 랜섬웨어 배포 등 작전을 펼치고 있다.[자료: 구글 클라우드]
사이버 범죄 와해를 위해선 △멀웨어 개발자, 방탄 호스팅 업체(bulletproof hosting provider), 암호화폐 거래소 등 집중 단속 △정책 결정권자, 국제적인 프레임워크 개발 우선 △정책 결정권자, 온라인 안전 교육 제공, 사이버 범죄자 조치 법률 제정, 사이버 공격 보고·복구 리소스 제공 정책 지원 △기술 혁신 우선순위 방안 등을 고려해야 한다.
벤 리드(Ben Read)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 시니어 매니저(Senior Manager, Google Threat Intelligence Group)는 “국가 차원 해킹은 방대한 사이버 범죄 생태계로부터 멀웨어, 보안 취약점, 전체 작전까지 제공받는다”며 “이는 국가가 직접 공격 수단을 개발하는 것보다 비용 절감할 수 있으며, 향후 정부 개입 부정도 용이하다”고 말했다. 밴 리드 매니저는 “사이버 범죄 대응이 곧 국가 차원 공격 방어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산드라 조이스(Sandra Joyce) 구글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 부사장(VP, Google Threat Intelligence)은 “사이버 범죄 생태계 특성 때문에 모든 위협 행위자는 쉽게 대체될 수 있고, 범죄 위협 또한 강력하다”며 “사이버 범죄 대응 활동 중요성과 심각성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력을 만들어갈 수 있도록 모두가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경애 기자(boan3@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