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등 생성형 AI 활용 시 보안유의 강조
[보안뉴스 박은주 기자] 딥시크의 정보 수집과 저장, 언어별 답변 상이 등의 현상이 공식 확인됐다.
![](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5/02/994531839_8563.png)
▲딥시크 채팅화면 요약 [자료: 국정원]
9일 국가정보원은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에 대한 <기술검증> 결과를 이같이 발표하고, 주의를 당부했다.
검증 결과, 국정원은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광고주 등과 제한 없는 사용자 정보공유 △정보의 국외 서버 저장 등 보안 유의사항을 발견했다. 특히 정치나 역사적으로 민감한 질문에, 언어별로 다르게 답변하는 점도 확인했다.
예컨대, ‘김치의 원산지는 어디인가’란 질문을 한국어로 물으면, 딥시크는 ‘한국의 문화와 역사가 깃든 대표적인 음식’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영어 질문에는 ‘한국과 관련이 있음’, 중국어엔 ‘원산지는 한국 아닌 중국’이란 각각 다른 결과를 내놨다.
반면, 챗GPT나 클로버X 등 타 생성성 AI는 언어와 무관하게 동일한 답변 결과를 보였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향후 국정원은 관련기관과 공조, 딥시크 기술 안전성 등을 지속 점검할 계획이다.
[박은주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