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해양수산부, 해경청, HMM, KISA 등 참여
[보안뉴스 한세희 기자] 정부와 기업이 선박에 대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 훈련을 공동으로 실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HMM오션서비스는 12일 부산 HMM오션서비스 본사 선박 종합상황실에서 민관 합동 ‘선박 사이버공격 침해사고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최근 선박과 육상 간 위성을 통한 통신 연계 일상화로 선박 운항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위협이 고조됨에 따라 선박 사이버 공격 대응체계를 점검하기 위해 실시됐다.

▲선박 사이버공격 대응 모의훈련 과정 [자료: 과기정통부]
훈련은 실제 해상에서 운항하고 있는 선박의 전자해도가 랜섬웨어에 감염돼 선박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을 가정, △사이버공격 징후 감지 △상황 전파·신고 △대응·복구 △피해 조사 등 사이버공격에 따른 전체 대응 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사이버 침해사고 발생을 인지해 관계 부처에 협조 요청을 하고, KISA가 사고 분석을 지원하며 선박을 복구하는 과정을 거쳤다.
임정규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이번 훈련은 선박 사이버 침해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환기시키고, 관계 기관 및 선박회사 간 공조와 연계를 실전과 같이 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축적되는 경험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박뿐 아니라 다른 산업으로 모의훈련을 확장해 민간의 사이버 대응 역량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성용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장은 “선박은 우리나라 물류의 99% 이상을 담당하는 해상공급망의 핵심 자원”이라며 “이번 훈련을 토대로 선박에 대한 사이버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 분야 시스템을 확립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세희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