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소방청은 국토안전관리원과 협업해 2일부터 전국의 소방지휘관을 대상으로 ‘건축물사고 현장안전실무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사진=소방청]
이번 교육은 지난해 11월 소방청과 국토안전관리원이 호남권(광주·전남·전북)에서 시범 운영한 교육 과정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소방공무원들이 재난 현장에서 즉각 활용할 수 있는 실무형 교육으로 개편했다.
특히 올해 초 경북 문경 공장화재 순직사고를 계기로 건축물의 구조·재료 등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소방청과 국토안전관리원은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협업해 힘을 모았다.
또 현장지휘관의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 대상을 현장활동 대원뿐 아니라 현장지휘관과 현장안전점검관으로 확대했다.
교육 과정의 주요 내용은 △상황인식·의사결정 등 소방공무원 현장 안전관리 중점 사항 △건축구조(재료)의 공학적 성질 및 붕괴 원리 △지반 침하 주요 원인 및 위험 요소 △건축물 사고 사례 공유 등 현장활동에 필요한 실무적 내용이다.
이영팔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재난 현장 대응 활동 전문가는 소방공무원이지만, 원활한 현장활동을 위한 전제 조건은 현장 안전이 확보되는 것”이라며, 이번 교육을 통해 “소방공무원의 재난안전 역량이 더욱 강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태형 국토안전관리원 재난안전본부장은 “건축물 붕괴·지반 침하 등 재난 대응에 있어 최일선 현장에서 소방활동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전문인력을 적극 지원해, 소방공무원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