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6-2844, CVE-2016-2845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3월 5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5일에서 6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jpg)
1. CVE-2016-1641
구글 크롬 49.0.2623.75 이전 버전의 content/browser/web_contents/web_contents_impl.cc 내에 있는 UaF 취약점으로 공격자들이 특정 데이터 구조를 삭제한 후 이미지 다운로드를 활성화시켜 DoS 공격 등을 할 수 있게 해준다.
2. CVE-2016-1642
구글 크롬 49.0.2623.75 이전 버전에 있는 다량의 불특정 취약점으로 공격자들이 DoS 공격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CVE-2016-2843
구글 V8 4.9.385.26 이전 버전에 있는 다량의 불특정 취약점으로 공격자들이 DoS 공격을 감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CVE-2016-2844
구글 크롬 49.0.2623.75 이전 버전의 Blilnk 내 WebKit/Source/core/layout/LayoutBlock.cpp에 있는 취약점으로 익명의 block wrapper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확실하게 확인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원격의 공격자가 조작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통해 DoS 공격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5. CVE-2016-2845
구글 크롬 49.0.2623.75의 Blink 내 Content Security Policy에 있는 취약점으로 ServiceWorker fetch가 발생할 경우 URL의 패스 요소를 무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원격의 공격자가 CSP 위반 보고서를 읽어 들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방문한 웹 페이지에서 민감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FrameFetchContext.cpp와 ResourceFetcher.cpp와 관련이 있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