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15-8286, CVE-2015-8287
.jpg)
[보안뉴스 문가용] 현지 시각으로 2월 17일, 우리나라 시간으로는 대략 17일에서 18일로 넘어오는 밤 사이에 미국의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을 통해 발표된 취약점들이다.
1. CVE-2016-1333
시스코 1000 Connected Grid 라우터의 시스코 IOS 15.5(3)M과 15.6(1)T0a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에서 승인을 받은 사용자가 SNMP 요청을 통하여 DoS 공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Bug ID CSCux89878과 동일하다.
2. CVE-2016-1334
1.0.4.4 펌웨어가 설치된 시스코 Small Business 500 Wireless Access Point 기기들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들이 시스템 시간을 POST 요청을 통해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Bug ID CSCuy01457과 동일하다.
3. CVE-2016-2398
Comcast XFINITY Home Security System에 있는 취약점으로 기지국 커뮤니케이션을 제대로 유지시키지 못한다. 그래서 물리적으로 가까이에 있는 공격자가 ZigBee 2.4 GHz 전파를 가로채 센서를 불능으로 만들 수 있다.
4. CVE-2015-8286
Zhuhai RaySharp의 펌웨어에 있는 하드코딩 된 루트 암호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TCP 포트 23이나 9000을 통해 접근 권한을 쉽게 가져갈 수 있게 해준다.
5. CVE-2015-8287
0114~1022 펌웨어가 설치된 SWNVW-470CAM과 Swann SRNVW-470LCD 기기들에 있는 취약점으로 원격의 공격자가 불특정 URL을 방문해 라이브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해준다.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gif)





